https://www.jejusori.net/news/articleView.html?idxno=434837
제주 화북공업 이전 무산...관리 방안 마련 3억 재투입 - 제주의소리
이전 계획이 무산된 제주시 화북공업지역(화북공업단지)의 관리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제주특별자치도가 후속 조치에 나서기로 했다.17일 제주도에 따르면 3억원을 투입해 2026년 3월까지 ‘제주
www.jejusori.net
이전 계획이 무산된 제주시 화북공업지역(화북공업단지)의 관리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제주특별자치도가 후속 조치에 나서기로 했다.
17일 제주도에 따르면 3억원을 투입해 2026년 3월까지 ‘제주특별자치도 화북공업지역 지구단위계획 수립 용역’을 진행한다.
제주도는 화북공업지역 이전을 위해 지난해 2억6000만원을 투입해 ‘제주특별자치도 공업지역기본계획 수립 용역’을 이미 진행했다.
이를 통해 대체입지 후보지 6곳을 정하고 주민의견 수렴에 나섰다. 이 과정에서 1순위인 제주시 조천읍 조천리와 2순위인 구좌읍 덕천리가 강력 반발하면서 이전 계획은 무산됐다.
화북공업지역은 1967년 관광도시 조성을 이유로 도내 곳곳에 산재한 공장을 집중화 하면서 만들어졌다. 당시 67만7500㎡ 부지가 일반공업지역으로 지정됐다.
1999년 도시계획재정비를 거치면서 사업부지가 준공업지역으로 완화됐다. 이후 공동주택과 근린생활시설 건설이 가능해졌지만 주거지역은 확장되지 않았다.
그 사이 삼화지구 등 인근에 택지개발이 추진되면서 이전 요구는 더욱 거세졌다. 이에 대체입지 선정 후 이전 방안을 마련했지만 이마저 실행에 이르지 못했다.
결국 제주도는 이전을 장기 과제로 넘기고 실질적 관리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제주도가 준공업 부지에 대한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할 경우 업종 제한이 가능해진다.
제주도는 이를 통해 특정 업종의 진입을 차단하고 미래전략산업 유치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업종 제한은 용역과 주민 의견 수렴을 거쳐 구체화 하기로 했다.
지구단위계획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라 평면적 토지이용계획과 입체적 시설계획이 서로 조화를 이루도록 하는 법정 계획이다.
실제 제주도는 과업지시서에 토지이용과 도시기반시설, 건축물의 규모 및 용도 등에 대한 계획을 입체적이고 종합적으로 수립할 것을 주문했다
출처 : 제주의소리(https://www.jejusori.net)
'톡톡 부동산뉴스 > 제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 JDC 헬스케어타운·예래단지 정상화 ‘환영’ (0) | 2025.02.11 |
---|---|
[제주] 제주 제2공항 기본설계 내달 착수...환경영향평가 절차도 본격 (0) | 2025.02.05 |
[제주] 월평동 제2첨단과학기술단지 미래 새로운 비전·전략 마련 거점 전망 (2) | 2024.12.11 |
[제주] 장묘문화 급변…제주에 2만기 규모 민간 봉안당 건립 추진 (1) | 2024.12.10 |
[인제] 비법정도로 매입 추진, 주민 불편 해결사로 역할 (0) | 2024.11.05 |